Surprise Me!

[기업기상도] '돈줄' 잡아 맑은 기업 vs '자승자박' 흐린 기업

2021-08-22 0 Dailymotion

[기업기상도] '돈줄' 잡아 맑은 기업 vs '자승자박' 흐린 기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 사태가 다시 위기국면으로 치닫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속출하는 변이 탓에 확산세 차단이 어려운 형편인데요.<br /><br />이렇게 경제를 주름지게 하는 사태에도 위기를 뚫고 한 발 나아간 기업, 또 그렇지 못한 기업들, 기업기상도로 살펴보시죠.<br /><br />김종수 기자입니다,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.<br /><br />주식, 코인, 집값 보면 돈 넘치는 듯 한데 경제의 실핏줄 서민경제는 재난지원금에 매달릴 정도로 돈 가뭄이 들었습니다.<br /><br />막힌 돈길 풀 방법 찾아야 할 이 때, 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출발합니다.<br /><br />먼저 GS리테일입니다.<br /><br />예상했던 인수후보 다 빠지자 2위 배달앱 요기요 잡았습니다.<br /><br />딜리버리히어로가 배달의민족 산 대신 팔아야했던 2위 배달앱 요기요, 신세계, 롯데 후보 거론되다 다 빠져 매각시한 연장까지 요청했는데요.<br /><br />작자가 나섰습니다.<br /><br />편의점, 슈퍼 운영하는 GS리테일입니다.<br /><br />사모펀드와 손잡고 8,000억원에 인수합니다.<br /><br />인수하면 음식 배달 외에 편의점, 슈퍼 등의 배달을 대폭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GS로선 큰 성장계기지만 배달전쟁은 격화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다음은 라면 4사입니다.<br /><br />예상대로 농심, 오뚜기 이어 삼양식품, 팔도까지 인상 대열 합류해 돈 더 벌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삼양식품, 팔도가 다음달 1일부터 라면값 평균 7~8%가량 올립니다.<br /><br />오뚜기가 이미 11.9%, 농심이 6.8% 올려 이제 4사 다 인상한 겁니다.<br /><br />밀가루값, 팜유 등등 원재료 다 올라 안올리곤 못버틴다는 게 인상의 변입니다.<br /><br />올렸다고 1인당 라면소비 세계 1위 한국인이 라면 끊을 일 없으니 실적은 좋아지겠죠.<br /><br />다만 적정히 올렸는지 소비자단체의 검증 기다려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제 흐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먼저 지난주 대규모 환불사태 빚은 할인앱 머지포인트 운영사 머지플러스입니다.<br /><br />신뢰잃은 돈 장사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줬습니다.<br /><br />20% 할인, 8만원 내면 식당, 편의점 등 가맹점 수만 곳에서 10만원어치 쓴다, 이렇게 해서 유명해졌죠.<br /><br />그런데 갑자기 사용처가 대폭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명백한 선불금융인데 3년 넘게 등록 안했다 생긴 문제입니다.<br /><br />불분명한 환불방침 탓에 전액 반환 힘들 것이란 걱정에 환불 요청자 몰려 회사는 아수라장 되고 경찰은 내사 착수했습니다.<br /><br />뒤늦게 안 영세 가맹점에 가입자 몰려 자영업자까지 타격받을 판입니다.<br /><br />이 지경 될 때까지 손 놓은 금융당국, 머지플러스 모두 책임 못면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다음은 업비트, 빗썸, 코인원 등 가상자산 거래소들입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 점검 결과, 신고요건 맞춘 곳이 전무했습니다.<br /><br />코인거래소 생사 가를 9월 24일 앞두고 금융당국이 거래소 25곳을 컨설팅 차원에서 살폈는데요.<br /><br />결론은 신고요건 맞춘 곳이 없더란 겁니다.<br /><br />핵심인 자금세탁방지, 내부통제는 인력, 시스템 미비 내지 기준 이하고 실명계좌 받은 곳은 업비트 등 4곳뿐인데, 이들마저 은행 심사 다시 받는 중입니다.<br /><br />'먹튀' 준비 의심받는 곳도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당국도 뒤늦게 나섰지만 투자는 본인 책임임을 재차 되새겨야할 때입니다.<br /><br />이번엔 말 많고 탈 많은 LH입니다.<br /><br />신도시 토지 매수인들에게 갑질했다는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 제재 받았습니다.<br /><br />한강신도시 택지 조성하다 문화재 발굴 조사로 1년 넘게 공사 지연됐는데요.<br /><br />부지 사기로 한 사람 책임 아닌데 납부 지연 요청 안받고 지연금에 LH몫 재산세까지 9억원 넘게 물린 게 문제됐습니다.<br /><br />공정위는 지위 남용이라며 시정명령에 5억원대 과징금 물렸습니다.<br /><br />공정위의 갑질 판정에 LH는 부지 조성 완료 전 땅 쓴 사람도 있고 민사문제에 처분은 부당하다며 소송한다는데요.<br /><br />법원 판결 한 번 기다려 보죠.<br /><br />마지막은 한국전력입니다.<br /><br />연료비 뛰었는데 요금 묶은 결과는 7천억대 대규모 손실이었습니다.<br /><br />연초부터 연료비 올라 2분기엔 7년여 만에 요금 올려야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민생, 물가 내세운 압력에 동결했죠.<br /><br />그 결과 작년 3,900억원 영업이익이 7,648억원 손실로 바뀌었습니다.<br /><br />6분기 만에 적자 난 겁니다.<br /><br />연료비 더 오른 3분기도 동결했으니 적자 더 커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한전은 고강도 효율화 한다지만 그 정도로 오른 연료비 상쇄 안됩니다.<br /><br />손실은 어디선가 가져와 메워야 하는 거죠.<br /><br />그런데 지금 봐선 4분기도 올리기 어렵다는 게 문제입니다.<br /><br />집값이 통제 불능으로 가고 있다는 말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그만큼, 위험도 커졌죠.<br /><br />세금 대폭 인상에 돈줄은 더 죄고 뒤늦게 공급 나섰는데도 이러면 혹시 어디 길이 막힌 곳은 없는지 살펴볼 때가 아닌가 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